부업

통신판매업 온라인 신고하기

유토미 2023. 3. 13. 15:11
728x90
반응형
SMALL

앞서 스마트 스토어 오픈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하지만 아직 완벽하게  오픈한것은 아닙니다. 판매가 가능한 스마트 스토아 오픈을 위해서는 통신 판매업 신고증을 발급 받은 후 네이버측에 해당 신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통신판매업 신고증은 구청에서 발급 받을수 있으며, 발급 받기 위해서는 " 구매안전 서비스 이용 확인증"이 필요합니다. 

그러면 스마트 스토어 오픈을 위한 통신판매업 신고증을 발급받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단계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이전에 스마트스토아 오픈과정에서 다운로드한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이 꼭 필요합니다. 이전 과정에서 내려받은 파일을 잘 보관해 두어야 합니다.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 발급받는 방법은 

스마트스토아 판매자 센터 로그인 → 사업자 회원으로 전환 신청(이미 사업자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는 패스) 판매자 정보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 발급 순으로 진행 하면 된다. 

 

 

이제 통신 판매업으로 신고하는 절차를 알아보자.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가능한데 오프라인 신청은 직접 해당 관리 구청에 방문해서 진행하면 됩니다.  통신 판매업을 신고하려면 미리 아래 준비사항을 해놓으셔야 합니다.

 

11) 온라인 쇼핑몰 가입(스마트 스토어, 쿠팡, 11번가, 지마켓, 옥션, 롯데온 등등)

22) 사업자 등록신청

33) 스마트 스토어 등에서 구매안전 서비스 이용증 발급

44) 통신판매업 신고

 

AA)위서류가 준비되었다면 정부 24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www.gov.kr/ 

 

정부24

 

www.gov.kr

 

BB) 접속 후 검색창에 "통신판매업" 입력 후  다시 통신판매업신고로 들어가면 됩니다.

이후 필요한 해당 업체정보/대표자 정보/목적에 맞게 판매방식과 취급품목을 작성하고 스마트스토아 인터넷 도메인주소를 입력합니다. 

 

참고로 상호는 사업자 등록증 상호와 동일하게 작성합니다.

소재지는 집주소나 비상주 사무실 주소를 입력합니다.

연락처는 본인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합니다.

이메일는 사용가능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후 파일 첨부란에 구매안전서비스 이용확인증을 첨부하고 신고증 받기는 온라인 수령으로 선택한 후 최종 민원신청하기를 클릭하여 통신판매업신고를 마칩니다.

 

추후 정부 24에서 MyGov에 가면 신청내역을 확인할수 있고 2-3일 처리시간이 지나면 온라인에서 프린터 가능합니다.

발급문자가 미리 구청에서 오고 서류를 발급 발을시 45,000원 비용이 발생합니다.

 

발급을 받았으면 해당 통신판매업신고증을 저장하거니 촬영하여 네이버에 제출합니다. 드디어 스마트 스토어 오픈이 완료 되었습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