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업

해외구매대행 사업의 순수익

유토미 2023. 3. 23. 17:22
728x90
반응형
SMALL

해외구매대행 사업의 순수익은 어떻게 산출할까요?? 간단하게 생각하면 판매한 금액, 즉 수익에서 비용(구입을 위해 지출비용)을 뺀 나머지 금액이 순수익입니다.

그럼 해외구매대행시 수익과 비용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일단 수익에는 스마트 스토어 등 기타 쇼핑몰에 실제 올리는 가격(실판매액)과 배송료(무료배송일 경우 물론 미포함)가 있고, 비용에는 타오바오등 해외쇼핑몰에서 제품 구매비용, 배대지 비용(배대지를 이용해서 한국 고객에게 발송, 타오바오등 해외 쇼핑몰 구매시 해외쇼핑몰에서 배대지까지의 비용은 제품 구매비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플렛폼(국내 쇼핑몰) 수수료(스마트 스토어, 쿠팡, 11번가, 롯데온, 옥션, 지마켓 등등 각 쇼핑몰에 따라 수수료 차이가 있습니다.), 관부가세(해당물품 구매가격이 15만원 이상일 경우 발생), 카드수수료(신용카드 사용시 발생하는 수수료), 부가세등이 있습니다.

 

즉 정리하면

해외구매대행 사업의 순수익= 수익(실판매액 + 배송료(고객에게 청구시)) - 비용(위 해당하는 비용) 이고

여기서 실판매액이란 제품을 판매할 때 할인가를 적용해서(할인가 미적용시 실제 판매금액) 고객에게 실제로 받게 되는 판매액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판매가가 100만원이고 전체할인을 99만원 했을경우 실제 판매액은 1만원입니다.  아래 표를 보면 원가 39,500원자리 테이블 램프를 30% 할인(12,000원) 한 실판매액은 27,500원임을 알수 있습니다. 

다음은 배송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쇼핑몰에서 소비자(구매자)가 지급하는 택배비를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제품을 사는 고객입장에서는 택배비인데 이부분이 사실 배송료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배송료 역시 판매자가 임의로 설정할수 있으며, 해외구매 대행의 경우 일반적으로 항공과 해운으로 나뉘며 10kg 정도에 2만원 정도의 비용을 예상하면 된다. 아래는 현재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배송대행지의 요율표이다. 아래 요금은 배송대행지에서 국내 택배사를 통해 고객에게 인도되는 비용이다. 즉 국내도착 후 택배사에 인계 후 고객에게 직접 배달 금액까지 포함된 금액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위에 제시한 예를 들어보자면 판매가(실판매액)는 27,000원이고 배송비가 5,000원이므로 실제 판매금액(수익)은 33,000원이라고 할수있다.  그런데 여기서 흔히 눈속임이라고 할수 있는 부문이 있습니다. 즉, 배송비를 무료로 하고 판매가(실판매액)을 33,000원으로 하거나 아니면 판매가(실판매액)는 24,000원으로 낮추고 배송비를 8,000원으로 올려도 결국은 같은 금액임을 알수 있습니다. 이것을 이용해서 배송비를 올리고 판매가를 낮춰 상대적으로 상품가격이 저렴해 보이는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