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업

해외구매대행 제품비용

유토미 2023. 3. 24. 18:29
728x90
반응형
SMALL

해외구매대행의 수익부문에 대해 저번글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제 비용(돈이 나가는) 부문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우선 구매대행 사업의 비용부문을 나열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aa)제품 구매비용

bb)배송대행지 비용(제품 재포장비 혹은 추가 검수비등 포함)

cc)카드 수수료

dd)관부가세

ee)플렛폼 수수료

ff)부가세등

 

aa)제품 구매비용

비용부분에서 가장 크게 차지하는 비용이 당연히 제품구매비용입니다. 제품 구매비용이란 말그대로 고객이 주문한 제품을 해외 쇼핑몰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품의 원가격입니다.

 

위 제품의 경우 타오바오를 통해 검색했을 경우 46.80위엔으로 188.00 위엔화 환율을 적용하면 한화로 약 8,800원 정도 되는 가격입니다. 즉 위제품 구매비용이 8,800원 이라는 얘기입니다.

위안화의 경우 매일 환율이 변하기 때문에 제품 구매비용이 환율 변동에 따라 조금씩 바뀌게 됩니다. 환율을 매일 확인해서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에는 번거롭고 어렵기 때문에 제품 선정시에느 환율을 보수적으로 잡아서 해당 제품의 마진을 잡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제품 선정시 1달러당 환율을 1,300원, 1위안당 190원으로 잡으면 그이상 거의 올라갈 일이 없기 때문에 처음 잡았던 마진보다는 실제 더많은 수익을 얻을수 있고 매일 환율을 확인하지 않아도 구매대행 사업을 원활하게 진행 할수 있습니다. 물론 경제 상황에 따라 환율이 급격히 오르내리게 되는 때가 있는데 한달에 한번 정도는 환율 상황을 체크해서 제품가격에 반영하는 게 좋습니다.

결국 제품의 원가격은 제품을 구매하는 비용으로 제품 선정시 환율을 보수적으로 측정하여 제품 가격 산정시 최소 마진을 보는것을 추천드립니다. 

 

bb)배송대행지 비용(제품 재포장비 혹은 추가 검수비등 포함)

해당제품을 배송대행지에서(해외쇼핑몰에서 배송대행지까지의 비용은 해외쇼핑몰 판매자가 부담) 고객 주소지까지 보내주는 비용을 말함니다. 이 측정 방법은 해당제품의 무게, 부피에 따라 달라질수 있습니다.

참고로 제가쓰는 배대지의 해상/항공 운임가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추가운임은  가입하신 배대지와 상의 하시면 됩니다.

 

cc)카드 수수료

해외사이트에서 국내카드로 결재할 경우, 몇몇 사이트에서는 카드수수료가 발생합니다. 해외구매대행 사업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타오바오의 경우 구매금액의 대략 3%를 받고 있는데 이부분도 비용측정시 꼭 기입하셔야 합니다.

 

dd)관부가세

괍누가세는 제품 구매비용이 미국의 경우 USD200달러가 넘어가면 붙게되는 세금(관세)와 부가세비용입니다.

직구시, USD150달러 이상의 제품에 관북세가 붙듯이 해외구매대행으로 판매시에도 관부가세가 붙게됩니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업자 통관으로 사업자가  제품가격의 18%를 세금으로 납부하고 고객에게 비용청구를 하시면 됩니다. 이부문도 미리 배대지와 확인 후에 고객에게 알려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제품 구입가격과 별도로 간부가세가 발생함을 미리 고지 않아고 추후 고지시 관부가세 납부로 인한 분쟁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당연히 고객이 내야하지만 고객 입장에서는 전혀 생각지 못한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면 거부감이 들어서 상품을 취소하거나 반품 할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가정하여 해외구매대행 초보자들은 처음에는 150달러 이하의 제품을 선택해서 판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가세의 경우 구매대행 수수료의 10% 세금납부하는데, 부가세 납부 기간에 한 번 납부하면 됩니다.

부가세: (제품 구매비용+ 배송대행지 비용 + 관부가세- 순판매액-배송료) X 10%

 

ee)플렛폼 수수료

플렛폼 수수료는 판매액의 일정 금액을 판매된 플렛폼에 지급해야하는 비용입니다.

이비용 역시 계산해두지 않으면 처음 생각한 마진보다 줄어들수 있습니다.

 

네이버 스마트 스토아의 경우  아래와 같습니다.

쿠팡의 경우 기본수수료는 7.8%이며 세부수수료는 6-10%로 생각하시면 되고, 옥션/G마켓의 경우 평균수수료는 13%, 11번가의 경우 평균 수수료는 13%, 위메프의 경우 16% 정도입니다. 초보자의 경우 수수료가 제일 적은 네이버의 스마트 스토어를 이용하는것이 마진에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