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구매대행이란????
간단히 말해서 국내 쇼핑몰(스마트 스터아, 쿠팡, 옥션/지마켓/롯데 온/11번가/인터파크/위메프 등)에 해외 온라인상품(중국의 경우 타오바오, 688, 텐센트 등/미국의 경우 아마존/일본의 경우 아마존/라쿠텐등)을 올려서,,,국내고객이 국내쇼핑몰에서 물품을 구매하면 구매한 제품을 다시 해외온라인 쇼핑몰 찾고 찾은 상품을 구매해서 고객에게 전달하고 일부 마진을 가져가는 사업 형태을 해외구매대행 사업이라고 한다.
일반 쇼핑몰 사업과는 확연히 구분되는데
일반 쇼핑몰의 경우에는 사입을 통해 일정부문의 제품을 미리 구입해서 보관후에 혹은 도.소매을 통해 일부 제품을 미리 구입한 후 쇼핑몰에 제품을 올려서 마진을 고려해서 고객에게 판매하는 전략이지만 해외구매대행은 미리 사입이나 도매/소매을 진행하지 않고 (즉 재고을 두지 않고) 고객이 주문과 동시에 그제품을 해외 쇼핑몰에서 구매해서 보내주는 형태의 사업이라고 할수 있다. 즉 해외구매대행은 서비스업(고객을 대신해서 구매하고 전달해주는 업)으로 분류된다.
그럼 이런 질문이 생각날 것이다...
왜 직구(직접 구매/해외쇼핑몰에서 고객이 직접 구매해서 사용)을 하지않고 해외구매대행을 사용할까요??
실제 많은 고객들이 직구을 하고 있는 상황이고 요즈음엔 직구가 더욱 편리해지게 해외에서도 발바르게 대처하고 있는 상황이고 국내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직구가 더욱 편리하도록 쇼핑몰을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단히, 해외직구 과정을 보면 아래와 같다.
AA)해외 쇼핑몰 직접구매(원하는 상품 SEARCH/선택) 및 결재(신용카드) 후
--> 11)쇼핑몰에서 배송대행 업체로 배송(참고로 해외 대부분의 쇼핑몰은 해외 발송은 하지 않는다. 그래서 해외에서 구매하는 개인은 중간에 고객에게 배송해줄수 있는 업체(배송대행 업체)을 별도로 선임해서 진행하여야한다.
즉, 해외쇼핑몰 -> 해외배송대행 업체-> 고객전달 순으로 진행된다고 이해하면 될듯하다.
-->22) 배송대행 업체에서 구매 물품 수령
-->33) 배송대행 업체에서 무게 측정 및 배송료 책정(배송업체 자체기준에 의거 책정/해상 운송과 항공운임으로 구분)
-->44) 구매자 해외배송비 결재(직접 결재 방식으로 진행/대부분의 구매대행사업자는 한국인 이어서 한국에 있는 은행계좌을 가지고 있다)
-->55) 한국으로 배송(항공 혹은 해상에 따라 기간이 보통 6-10일정도 소요된다)
-->66) 통관(물건이 한국 도착 후 관세통관 진행)
-->77) 택배을 통한 구매자 전달 및 수령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직구을 많이 하고 있지만,
일부 고객들은 위와 같은 과정이 처음이라 불편할 뿐더러 거기에 투자할 시간적 여유가 없거나 혹은 누군가가 위의 과정을 대신해주고 대신에 일부 서비스료을 지급하고 본업에 집중하고 싶다면 거기서 이와같은 해외구매대행의 서비스업이 존재한다고 할수 있다. 쉽게 예을 들면, 라면을 못 끊이는 사람은 없지만 라면집에 가서 돈을 주고 사먹는 거와 같다고나 할까???
'부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구매대행의 시작(직구 방법/배송대행지) (0) | 2023.02.24 |
---|---|
해외구매대행시 지불해야 하는 비용(항목) (0) | 2023.02.23 |
해외구매대행 수익 발생구조 (0) | 2023.02.23 |
해외구매대행 -서비스업 분류에 의한 장점 (0) | 2023.02.22 |
해외구매대행 수익 발생구조 (0) | 202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