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대행업을 하면서 궁금해지는 사항이 그럼 과연 개별 건당 얼마의 마진(수익)이 나는 걸까요??라는 물음이다. 이건 개별사업자가 얼마의 마진을 잡을 것인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은 20-25%정도의 수수료을 책정하고 진행한다. 다만 이건 평균적이지 제품마다 개업사업자 마인드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가령 개별사업자가 매출(총판매금액)이 월 1천만원이라고 하면 보통 순수익은 200-300정도(순이익율 20-30%)이며 이건 개별사업자마다 다를수 있고 거기에는 제품마다 수수료차이도 천차만별이라고 할수 있다..
가령 A 제품은 배송비를 포함해서 국내에서 15,000원에 판매되고 있다면 이제품이 중국사이트인 타오바오(Taobao)에서 찾아보니 실제 20위안, 한화로 3,400원정도(환율은 1위안은 170원정도로 계산)로 올라와 있고 중국에서 직구를 할경우 해외 배송비(해외에서 배송대행지통해서 국내 구매자에게 발송하는 비용/기본으로 5,000원)를 포함하여 8,400원이면 구입할수 있다고 하자. 즉 거의 해외 직구의 경우 절반가격이라고 가정해보자. 그렇다고 한다면 수치상으로는 이미 국내에서 팔리는 가격 15,000원 보다 6,600원(15,000 -8,400원) 저렴하게 구입하게 되어 44% 금액을 세이브 할수 있다.
만약 이제품을 다시 국내 쇼핑몰(예 스마트스토아)에 해외구매상품으로 가격은 7,000원/배송비 5,000원에 등록할경우 총합 12,000원에 판매 가격으로 올린다고 한다면, 제품이 하나 판매될경우 3,400원(12,000원(국내쇼핑몰 금액) - 8,400원(직구비용))원의 수익이 발생하고 마진율은 28% 정도이다.
만약 더욱 저렴하게 국내쇼핑몰에 10,000원으로 올린다고 가정하면 제품이 하나 판매될경우1,600원(10,000원(국내쇼핑몰 금액) - 8,400원(직구비용))원의 수익이 발생하고 마진율은 16% 정도이다. 즉 실제 판매되고 있는제품이 15,000원 정도인데 경쟁력있게 해외구매대행 제품의 가격을 12,000-10,000정도로 저렴하게 올려도 28%-16%의 마진을 개별상품 판매시 가져갈수 있다고 생각하면 될듯하다.
단, 이 마진금액은 쇼핑몰 수수료, 카드 수수료 기타 부가가치세등을 제외한 수익으로 추후 이부분에 대해서 조금씩 얘기해보도록 하자.
'부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구매대행의 시작(직구 방법/배송대행지) (0) | 2023.02.24 |
---|---|
해외구매대행시 지불해야 하는 비용(항목) (0) | 2023.02.23 |
해외구매대행 -서비스업 분류에 의한 장점 (0) | 2023.02.22 |
해외구매대행 수익 발생구조 (0) | 2023.02.21 |
해외구매대행의 이해 (0) | 2023.02.20 |